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지난 복지형 국가 바우처 사업에 연속해서 중소기업에 혜택을 주는 데이터 바우처 사업과 경제적 취약층에 지원하는 농식품 바우처 지원사업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
국민과 기업에게 데이터 수요와 공급 생태계 조성과 디지털 기반의 산업용 데이터 활성화 촉진을 위해 수요기업에 필요한 데이터 구매, 가공에 소요되는 서비스를 공급기관으로부터 제공받도록 하여 데이터 비용을 바우처를 통해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데이터 바우처 규모
• 사업예산은 22년에 1,241억원이고, 2680건 바우처 지원 예정
• 수요기업 지원수는 22년에
일반구매 1,200건 (최대16백만원),
일반가공 480건 (최대 45백만 원),
인공지능(AI)가공 1,000건 (최대 7천만 원) 수준으로 지원합니다.
◇ 데이터 바우처 사업 절차
• 주관기관 (데이터산업진흥원)이
데이터판매,가공서비를 공급 가능한 공급 서비스 기업을 공고하여 심사. 평가후 선정, 공급 서비스
기업을 지원하고,
• 주관기관이 수요기업 공고.심사.평가하여 협상 대상 기업체를 선정하고,
• 일반가공 수요기업과 공급 기업체 간의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협의와 매칭을 시켜주며, 인공지능(AI)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체간의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협의와 매칭을 시켜서 협약 체결,
• 수요기업의 데이터 활용과 공급기업의 의무이행 확인통해 사업관리와 이해 점검. 감리하게 되며, • 수요기업의 데이터 활용 개발과 산출물 확인후 결과 평가, 우수기업에 시상과 홍보를 진행합니다.
◇ 데이터 바우처 사업 일정
• 사업기간 : 22년 6월 1일 ~ 22년 11월 30일 까지
• 수요기업 공모 : 22년 2월 14일 ~ 3월 30일까지
• 수요기업 접수 : 22년 2월 224일 ~ 3월 30일까지 (구매~3/28, 일반 가공~3/29, AI가공~3/30)
이제는 수요기업 위주로 공모, 접수할 적당한 시기입니다.
수요기업 선정 심사. 매칭 심사. 협약 체결은 22년 4월 ~ 6월 중이고,
• 공급기업 공모. 접수 : 21년 11월 9일 ~ 12월 28일까지
• 현장 감리와 이행점검은 22년 7월부터 11월 초 까지
• 결과 평가와 성과 확산은 22년 1월부터 12월까지입니다.
• 수요기업 공모. 문의사항은 1833-2246, 데이터바우처포털( kdata.or.kr/datavoucher )
데이터 바우처 수여 기업 지원 부문
◇ 일반부문
중견기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1인 창조기업, 청년기업 포함)가 대상기업이고,
수요기업은 데이터 상품을 지원받아 데이터를 분석, AI 개발과 맞춤형 데이터 가공서비스를 지원받아 데이터 분석 , AI 개발 사업체입니다.
◇ 사회현안 해결 부문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 연구기관, 대학연구팀, 병원, 일반부문 지원대상자 입니다.
◇ 수요기업의 지원 절차
• 데이터 바우처 포털 (www.kdata.or.kr/datavoucher )에서 필요한 공급사 업체 검색하고,
• 일반가공 수요기업은 공급기업과 과제 협의, 견적가 협의를 마친후 사업관리시스템에 (www.kdata.kr/pms )에 접수하고,
• 구매부문과 AI가공부문은 사전에 공급기업과 과제협의 필요 없이 신청 접수 가능합니다.
◇ 수요기업의 지원 사항
• 데이터 구매 -> 마케팅 전략 수립, 비즈니스 모델 개발, 아이디어 사업화 등에 필요한 데이터 활용 목적에 필요한 데이터 구매 비용을 지원하고,
• 데이터 가공(일반) ->서비스 개발, 데이터 분석 등 비즈니스 추진위해 필요한 데이터 가공서비스 비용을 지원하고,
• 데이터 가공(AI) -> 인공지능 기술 활용 서비스와 제품 개발, 확장 비즈니스 추진위해 필요한 데이터 가공서비스 비용을 지원합니다.
※ 데이터 가공 유형
전처리, 품질, 코딩, 시각화, 정보 추출 또는 조합, 태깅, 라벨링, 분석, 가명 처리, 데이터 보호, AI학습용 데이터 구축 등의 유형을 말함.
※ 데이터 가공(일반) 포함할 사례
원천 데이터 구축-> 데이터 설계-> 데이터 분류-> 데이터 클렌징 -> 빅데이터 분석 과정이 포함하고,
※ 데이터 가공(AI) 포함할 사례
원천 데이터 구축-> 데이터 설계-> 데이터 라벨링과 데이터셋 구축 -> AI모델링 -> 테스트 -> 반복 과정이 포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예외적으로 기후변화(감염병). 질병(난치병)의 사회현안문제 해결 위한 기술혁신, 정책. 학술연구 위한 데이터 구매, 데이터 가공에서 선정되면 50억 원 내외 지원합니다.
◇ 사업별 지원 요건
소상공인과 청년기업 , 예비창업자 기준으로 설명하고, 선정 전. 후에 사업자등록을 헤야 합니다.
• 소상공인
정부지원금 (80%) + 민간부담금 (20%)은 현금 또는 현물로 대체 가능하고,
• 청년기업
정부지원금 (90%) + 민간부담금 (10%)은 현물로 대체 가능합니다.
• 예비창업자
정부지원금 (100%)입니다.
◇ 사업별 사업화 계획서 작성
• 일반 데이터구매 경우
마케팅 전략 수립, 비즈니스 모델 개발, 아이디어 사업화 계획서를 작성하여 신청 접수 필요합니다.
• 일반 데이터가공 경우
서비스 개발, 데이터 분석 , 비즈니스 추진 계획서를 작성하여 신청 접수가 필요합니다.
• 일반 데이터가공(AI) 경우
인공지능 기술 활용 서비스.제품 개발, 확장 비즈니스 추진 계획서를 작성하여 신청 접수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 관련하여 수요기업의 지원부문과 지원 절차, 지원사항 , 신청방법에 대해 확인해보았습니다. 관심 있는 소상공인, 청년창업가, 예비창업가 , 1인 창업가들이 도전해볼 만한 바우처 지원 사업입니다.
농식품 바우처 지원 제도
경제적 취약계층이 코로나 19로 인해 더욱더 확대되고 있고 그로 인해 영양섭취와 식습관 악화로 건강 위협이 심각해짐에 따라 이들의 건강한 삶을 위한 의료비 감소 위한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런 사회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경제적 취약계층의 영양을 보충 지원하고 건강의 개선, 식품 접근성 강화 등으로 사회적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도가 운영 중입니다.
◇ 농식품 바우처 목적
저소득 경제적 취약층의 영양섭취 안전 확보와 건강한 사회활동을 돕고 농산물의 지속 가능 소비체계를 구축해서 채소, 과일 등 농식품 생산 가구의 지속적 형태로 지원하고 도입한 것입니다.
◇ 농식품바우처 신청대상
• 소득수준에 따라 지원대상 결정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로 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에 해당되는 가구 구성원입니다.
• 바우처 지원금액은 대상자 경우 40천 원(1인), 69천 원(3인), 80천 원(4인), 106천 원(6인), 113천 원(8인), 126천 원(10인) 을지 급하고,
• 바우처 지원 기간 22년 03월 2일부터 9월 30일까지 (7개월) 입니다.
◇ 농식품 바우처 신청방법
• 신청은 주거지 읍. 면.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하고, 오프라인 신청방법입니다.
• 신청시범지역은
부산진구, 인천 옹진군, 경기 양평군, 강원 평창군, 충북 괴산군, 충남 당진시, 충남 청양군, 전북 김제시, 정읍시, 전남 장성군, 해남군, 경북 예천군, 청도군, 경남 거제시 , 밀양시 15개 지역입니다.
• 바우처카드는 대상자가 확정되면 주민센터에서 일괄 발급해서 제공합니다.
발급된 카드에 대상자의 가구원을 포함하여 지원금액을 산출하여 포함하여 지급합니다.
• 카드 금액 사용방법은 농협 하나로마트, 로컬푸드 직매장, 온라인 농협 몰에서 구입하여 결제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지원품목은 과일, 채소, 우유, 계란, 육류, 잡곡, 꿀로 지정된 품목 내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경제적 취약계층에 주어지는 농식품 바우처의 신청대상과 방법 정보에 대해 확인헤보았습니다.
반응형
'정보와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축통화 의미와 환율 영향에서 환율 재테크 방법 (0) | 2022.03.20 |
---|---|
노후 생활 연금 수급 조건과 수령 설계 방법 (0) | 2022.03.18 |
국민복지 혜택 국가 바우처 신청과 카드사용 방법 (0) | 2022.03.17 |
투자한도 초과해서 퇴직연금 투자하는 방법 (0) | 2022.03.16 |
미취업 청년에 취업 장려금 신청방법 (0) | 2022.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