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년희망적금 제도
◈ 청년의 안정적 자산관리 지원 위해 정부에서 저축장려금을 지급하는 자산형성 상품입니다.
전체 금융기관에 1인 1계좌에 한해 가입 가능하고, 대상은 실명 개인과 개인사업자 모두 가능합니다. 그럼 세부적인 사항은 하기에서 확인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 조건
◇ 나이 : 만19 ~ 34세 이하 청년 (남. 녀 구분 없음)
◇ 구분 : 실명 개인 근로소득자와 개인사업소득자
◇ 소득금액 : 총급여액 36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 근로소득+사업소득+이자+연금+기타 소득
청년희망적금 제도 신청조건에 대해 알아보기입니다.
가입 판매기간 (가입기간)
◇ 기간 : 22년 2월 21일 ~ 22년 3월 4일까지
단, 정부 정책 및 예산 소진될 경우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가능한 우선 해서 가입을 권장합니다.
현재 바쁘신 분은 나중에는 은행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사전에 확인 후 가입 바랍니다.
※ 일부은행은 기간을 12월31일까지 표기하고 있으나 금융위는 한정된 예산 소진되면 곤란하다고하니 기간에 맞추어 가입을 서둘러 보시길 바랍니다.
희망적금 가입 종류와 납입기간
◇ 2년형 (기본) - 총 납입금액 x 연 5% + 저축장려금
납입한도 - 년 600만 원 (월 50만 원 까지)
만기수령 예상금 = 1200만 원 + 시중은행 금일(5%) + 저축장려금 (24만 원)
이자 - 비과세 혜택
◇ 1년형 (기본) - 총 납입금액 x 연 2% + 저축장려금
※ 1년형은 취급은행이 없거나 많지 않지만, 2년형 가입 후 1년만 납입하면 1년형이 됩니다.
본인의 형편에 맞게 조절하면 됩니다.
◇ 농협은행 기준 우대금리 기준 (최대 0.7%) - 시중은행 금리(5%)에 추가 보너스 금리
급여 및 주거래 이체 (0.2%) + 신용카드결제 실적(0.2%) + 주택청약 보유. 신규가입 (0.2%) + 마케팅 동의 (0.1%)
※ 저축장려금 (정부지원금)은 만기일 전일까지 납입액 기준, 적립기간별 차등 계산하여 지급합니다.
신청방법과 준비서류
◇ 취급은행
농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카카오 뱅크, 케이 뱅크 등
농협은행 기준으로 기술합니다.
◇ 온라인 신청 (PC)
준비물 - 공동 인증서
희망은행 인터넷 뱅킹에 접속하여 「청년희망적금」을 클릭하고 가입합니다.
◇ 온라인 신청 (스마트폰)
준비물 - 공동인증서
희망은행 인터넷 뱅킹에 접속하여 「청년희망적금」을 클릭하고 가입합니다.
◇ 오프라인 신청 (은행 방문)
점심시간, 휴식시간에 근처 은행에 방문하여 개설합니다. 식사시간 전 15~30분 전에 나가서 번호표 뽑아야 기다림 적게 하고 점심 식사할 수 있을지 참고 바랍니다.
준비물 - 신분증 , 소득증명서 지참 (고용보험자격 이력 내역서, 재직증명서, 주민등록 초본)
※ 오프라인 준비 서류가 많으니 가능하면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기 시 총금액과 이자 지급 방법
◇ 지급방식 - 만기 일시지급식
◇ 수령금액 - (월 납입액 x 납입 개월 수 ) x 시중금리 (5~6%) + 저축장려금 (최대 36만 원 )
(500,000 x 24 ) x (5%) + 36만 원 = 1296만 원
※ 실제 금리 계산해보면 2년 후 10% 짜리 적금입니다. (최대 2년 면 1296~1308만 원 정도 예상)
많은 분들이 가입해서 많은 혜택을 받아 가시길 바랍니다
◇ 만기 이후 금리 - 만기일 후 ~ 1년 이내 (0.06%) , ~ 1년 초과 (0.1%)
※ 만기일 5~10일 전에 통보가 되면 찾아서 원하는 자동차, 전세금, 주택구입자금, 결혼자금에
조금이라도 보태어 사용하면 정말로 괜찮아 보입니다.
이상으로 올해 연도 청년희망적금 신청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 될 청년 지원제도
청년희망적금 제도와 가입대상, 조건 비슷한 지원제도입니다. 한번 더 생각해보시고 이용 혜택을 누리길 바랍니다.
◇ 청년 내일 저축 제도 : 22년 하반기에 신규 가입자 모집 예정
◇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 각 은행에서 시행 중
◇ 청년 전세. 월세 보증금 지원 : 23년 말까지 연장하여 시행 중으로 2억 이하 보증금 지원
◇ 청년 월세 지원 : 매월 20만 원
◇ 청년 주거 급여 지원 : 만 19~29세 까지 미혼
반응형
'정보와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 용어 DSR,DTI, LTV 쉽게 이해하는 방법 (0) | 2022.02.27 |
---|---|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300만원 신청 방법 (0) | 2022.02.26 |
가상 인간이 광고 모델로 선정되는 요소 2가지 (0) | 2021.12.13 |
메타버스 플랫폼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 시키는 방법 (0) | 2021.12.09 |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구축 효과 3가지 (0) | 2021.12.08 |
댓글